티머니 교통카드 잔액 조회하는 5가지 방법
어제 짐 정리를 하다가 오랜만에 티머니 교통카드를 발견하여 잔액조회를 해보았는데 이것으로 글을 쓰는 것은 어떨까 해서 오늘은 티머니 교통카드의 잔액조회를 할 수 있는 5가지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첫 번째 방법은, 편의점에서 잔액조회를 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후불결제 방식의 일반 체크카드를 이용하다 보니 교통카드는 따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데, 티머니 카드를 이용하던 당시에 제가 사는 곳이 시골이라 ATM기라고는 주로 NH뿐이고 버스에서 교통카드를 찍을 때 잔액을 잘 확인하지 않는 편이라 미리미리 충전을 했었는데 이때 주로 편의점에서 충전을 하면서 남은 잔액을 확인했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티머니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티머니 홈페이지(https://pay.tmoney.co.kr/index.dev)에서 티머니의 잔액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이미 회원이신분은 로그인하시면 되고 회원이 아닌 분은 회원 가입하시면 됩니다.
회원 가입 자체는 간단하니 후딱 하시고,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마치시고 로그인한 뒤 해야 할 것은 카드 등록입니다.
로그인하셔서 티머니 홈페이지의 메인으로 오시면 보라색으로 크게 카드 등록이라고 써져 있습니다. 마우스를 보라색 칸에 올리시면 카드 종류가 나오는데 본인이 등록할 카드가 일반카드인지 어린이 또는 청소년 카드인지 Foreigner Card 인지 맞는 것을 선택하여 클릭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중앙에 카드 번호를 입력하는 칸에 카드에 적힌 16자리의 번호만(- 제외) 입력하시고 등록 버튼을 누르면 카드가 등록됩니다.
카드 등록이 마치면 맨 위에서 왼쪽에 있는 회색의 전체 메뉴를 눌러 5번째 목록의 내역 조회를 누르고 사용 내역을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이제 확인할 카드를 선택하고 확인할 기간을 선택하고 확인하시면 됩니다.
확인 가능한 기간은 최대 1년이고 저는 사용 안 한 지 1년이 넘어서 그런지 조회가 되지 않네요.
세 번째 방법은, ATM기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은행의 ATM기로도 티머니 카드의 잔액 조회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잔액 조회뿐만이 아니라 충전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모든 은행의 ATM기에서 티머니 잔액 충전이 가능한 것은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하나은행 총 3곳입니다.
네 번째 방법은, 티머니 잔액 조회 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앱을 다운로드하시고 사용하시면 되는데 잔액 조회 앱 같은 경우 NFC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마트폰 뒤에 가져다 되면 잔액조회가 되는데 이 NFC 기능이 없는 휴대폰에서는 이용이 불가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다섯 번째 방법은, 이건 제가 SNS를 하다가 우연히 본 것인데 딱히 도움이 된다기 보다 그냥 신기해서 마지막에 설명드려요.
버스정류장에 가시면 사진과 같은 안내 전광판이 있는데 그곳에 카드를 되면 잔액이 조회된다고 합니다. 신기하긴 한데 위치도 그렇고 저같이 사람의 이목을 끄는 걸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그다지 활용하기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